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하다가 몽상66

개인사업자 부가세환급대상 차량 환급 방법 - 차량매매 환급, 공제 차량, 환급 방법 개인사업자는 생각보다 경비처리 할 내용이 많습니다. 사업용으로 차량을 이용했다면 차량 매입세액을 공제할 수 있고 나머지에 대한 부가세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 점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목차] 차량 구매로 부가세 환급 받을 수 있을까? 부가세로 인정 받지 못해도 소득세 경비로 공제받기 개인사업자 차량 소득세 경비 환급방법 1. 차량 구매로 부가세 환급 받을 수 있을까? 차량을 구매하는 것만으로도 부가세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제일 첫 번째의 조건은 사업용으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사업과 관련이 없다면 공제 받지 못합니다. 차량으로 직접 영업을 하고 있다면 영업용으로 주유비, 유지비까지 지원됩니다. 영업용 차량이 아니라면 자신의 명의 차량이어야 하고 개별소비세 비과세 대상이어야 합니다. .. 2023. 5. 19.
임대사업자 소득 실업급여 영향 있을까? - 실업급여자격, 피부양자, 신청방법 실업급여를 몰라서 받지 못하는 분이 꽤 있습니다. 생각보다 광범위하게 지원해서 관심이 있었다면 자격을 얻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임대사업자도 조건이 성립되면 받을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자격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목차] 실업급여 어떻게 받을 수 있나? 자격조건과 신청방법 임대사업자 소득 실업급여 영향있을까? 실업급여 피부양자 조건 건강보험이 가능할까? 1. 실업급여 어떻게 받을 수 있나? 자격조건과 신청방법 실업급여는 우선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가 재취업활동 하는 기간에 작은 급여를 제공함으로서 생활의 안정을 도와주는 제도입니다. 실업급여는 크게 구직급여, 취업촉진수당, 연장급여, 상병급여가 있습니다. 실업급여로서는 구직급여가 제일 대표적입니다. 실직 전에 18개월 중 180일 보험이 .. 2023. 5. 17.
상가 임대사업자 증여 방법 어떻게 해야할까? - 증여세, 부담부증여, 자녀증여 아파트나 주택보다는 상가가 증여하기에 더 유리합니다. 특히 상가는 사업장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경비처리나 세금문제에 대해서 상당한 메리트를 가집니다. 오늘은 상가증여방법에 대해서 얘기해보겠습니다. [목차] 상가 증여 방법 어떻게 해야할까? 양도 후 증여, 증여 후 양도 무엇이 유리한가? 자녀증여, 부담부증여 고려해보기. 1. 상가 증여 방법 어떻게 해야할까? 우리나라는 증여세가 높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세금에 대해 잘 고려해야합니다. 증여세는 1억원 이하 10%, 5억원 이하 20%, 10억원 40%, 30억원, 30억원 초과로 나눠집니다. 아파트나 오피스텔과 다르게 상가는 증여재산가액이 감정가액 또는 시준시가로 적용해서 유사매매사례가액보다는 유리한 편입니다. 아파트나 주택을 증여하는 것보다 상가.. 2023. 5. 17.
상가 권리금 반환 받을 수 있을까? - 권리금 회수, 상가임대차보호법, 세금공제 임차인이나 임대인으로서 권리금에 대해서 생각보다 모릅니다. 최대한 많이 알아서 권리금으로 어떻게 악용될 수 있는지 어떻게 내 권리를 온전히 누릴 수 있는지 아는게 중요합니다. 상가 권리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상가 권리금 보장받을 수 있나? 상가임대차보호법을 적용해보면? 권리금 부가가치세 환급 가능한가? 1. 상가 권리금 보장받을 수 있나? 상가에 들어가시는 세입자 중에서 대부분 3년 이상 바라보고 사업하실 것입니다. 권리금은 상가 임차인이 상가의 위치, 시설 같은 무형의 자산을 평가하여 새로운 임차인에게 양도하는 금액을 말합니다. 권리금은 말 뿐만이 아닌 상가임대차보호법에도 명시되어 있으며 임대인은 이에 협조해야합니다. 다만 권리금이 얼마인지에 따라서 새로운 임차인이 빠르게 구해지거나 안 .. 2023. 5. 16.
이전 계약과 같은 금액인 경우 전월세신고 필요한가? 임대차신고 전입신고 차이 계도기간이었던 전월세신고가 이번 2023년 6월부터 시행되면서 깜빡하거나 잊어버리면 바로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동일한 계약금액일 때 전월세신고를 해야하는지 헷갈리시는 분들을 위해 전월세신고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목차] 전월세 신고 임대차 신고 전입신고 차이 묵시적 갱신이거나 이전계약과 같으면 전월세신고 해야하는가? 전월세 신고하는 방법 1. 전월세 신고 임대차 신고 전입신고 차이 전세사기가 많아지면서 전월세신고가 빡세졌습니다. 전월세신고는 임대차신고랑 사실상 같은 효과를 발휘하고 비슷한 의미입니다. 전월세신고는 임대인이나 임차인 둘중 한 명이 임대차계약을 한 후 해당 주민센터나 지자체에 가서 신고하는 것을 말합니다. 6월부터 하지 않으면 바로 과태료 100만원이 부과되므로 잊지말고 해주시면 됩니다... 2023. 5. 16.
상가임대사업자 건강보험료 경비처리하기 퇴직하거나 직장을 다니지 않아도 임대소득이 있다면 국민연금을 가입해 보험료를 납부해야합니다. 특히 상가의 경우에는 연 2000만원을 넘기 쉽기에 필요경비 공제를 통해 세테크가 절실합니다. 오늘은 상가임대사업자의 입장에서 보험료, 종합소득세 필요경비에 대해서 얘기해보겠습니다. [목차] 상가임대사업자 국민연금 가입해야하나? 보험료는? 지역가입자 취득신고서, 납부재개신고서 받은 후 소득신고 상가 임대사업자 건강보험료 경비처리 가능한가? 경비처리 방법 1. 상가 임대사업자 국민연금 가입해야하나? 보험료는? 임대소득이 있다면 무조건 그 소득에 따른 연금보험료를 내야합니다. 그 말은 국민연금을 가입해야된다는 뜻입니다. 소득은 사업소득에 대한 보험료가 들어가며 지역가입자로 가입되어 보험료를 내게됩니다. 국민연금은 4.. 2023. 5.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