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지한 서학개미

퇴직연금 종류, DB,DC,IRP, 중도인출 알아보기

by Mocca_ 2023. 2. 4.

회사의 월급은 퇴직금을 빼고 나오게됩니다. 그 퇴직금은 퇴직연금으로 들어가게되어있는데요. 퇴직연금을 현재 상황에서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따라 퇴직금이 달라집니다. 오늘은 퇴직연금 종류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목차]

  1. 퇴직연금 종류
  2. 확정급여형 DB
  3. 확정기여형 DC
  4. 개인형퇴직연금 IRP

반응형

 

 

 

1. 퇴직연금 종류

 

퇴직연금은 근로자에게 지급할 급여의 일부를 적립하고 퇴직할 때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옛날에는 회사가 직접 관리하다가 회사가 부도가 나면 근로자는 퇴직금이 사라지는 경우가 생겼어서 외부 금융사에 맡기기 시작했습니다.

 

꾸준히 다닐 수 있는 직장, 이직이 잦은 직장, 단기적으로 다닐 직장 등 케이스에 따라서 퇴직연금을 무엇을 들어야 될지 나눠지게 됩니다. 

 

퇴직연금의 종류에는 DC, DB, IRP가 있습니다. 차례로 확정기여형, 확정급여형, 개인형퇴직연금입니다. 작년 4월부터 퇴직연금을 미가입한 대상자도 퇴사할 때 퇴직금을 IRP지급이 의무화되었습니다. 

 

퇴직연금을 제대로 선택하는 것은 노후자금이나 내집마련, 투자, 사업 등 중요한 시드를 마련해줄 수 있습니다. 이제 퇴직연금 종류에 대해서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2. 확정급여형 DB

 

확정급여형 DB
확정급여형 DB

확정급여형 DB는 나중에 받을 급여가 확정적이라는 뜻입니다. 간단하게 말하잠녀 매년 예상퇴직급여의 일정한 비율을 사외에 적립하여 회사가 퇴직금을 예금,적금식으로 관리합니다. 

 

원금이 보존되고 예금, 적금식이기 때문에 퇴직금은 퇴직 전까지 평균임금의 근속연수가 곱해집니다. 임금인상률이 높은 기업에 유리하고 길게 다니실 분에게 추천합니다. 퇴직 전까지 평균연금이 곱해지기 때문에 근속연수가 중요합니다. 꾸준하게 한 회사를 다니는 분에게 유리하죠. 탄탄하고 안정적인 공기업이라면 강력 추천합니다. 

 

지금 같은 상황에 시장이 변동성이 큰데요. 자금을 주식이나 부동산, 코인에 투자하기보다는 안정적으로 적금 같은 DB에 투자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3. 확정기여형 DC

 

확정기여형 DC
확정기여형 DC

다음으로는 확정기여형 DC입니다. DC는 임금의 12분의 1에 해당하는 금액을 근로자가 원하는 상품에 운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입니다. 월급의 10%를 근로자의 외부 퇴직금계좌에 적립한 후 그 돈을 원하는 투자상품에 넣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회사가 가입한 은행에 따라 상품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제 동생 같은 경우에는 나스닥이나 S&P500을 따라가는 한국 ETF상품을 추천하였다네요. 적립식 ETF나 비슷하며 투자운용수익은 전적으로 운용하는 근로자에게 달렸습니다. 주식으로 투자를 좀 해보시거나 잘 하신다면 퇴직금을 불릴 수도 보입니다.

 

보통 일반적인 직장인분들은 운용을 잘 안하시는데 지수는 오래보신다면 생각보다 안전합니다. 물론 코스피는 저는 믿지 않습니다. 근로자가 원하면 추가로 넣을 수 있습니다. 운용수익이 괜찮다면 목돈 만들기도 좋아보입니다. 세제혜택도 있어서 절세하면서 투자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이 퇴직연금제도를 좋게 봅니다.

 

반응형

 

 

 

4. 개인형퇴직연금 IRP

 

개인 IRP 퇴직연금
개인 IRP 퇴직연금

잦은 이직이나 단기 알바, 계약직 같은 경우 이 IRP 제도를 많이 사용합니다. 개인이 스스로 가입하는 형태의 퇴직연금인 개인형이 있고 10명 이하의 기업에서 가입할 수 있는 기업형이 있습니다.  기업형은 확정급여형 DB와 흡사하기에 개인형을 보겠습니다.

 

개인형에서도 퇴직형 IRP와 적립형 IRP, 혼합으로 된 IRP도 있습니다. 각 금융사에서 하는 상품마다 다르기 때문에 잘 살펴보아야겠습니다.

 

퇴직형 IRP는 퇴직금을 중간정산하게 되어서 이직하기 전에 이 IRP 계좌를 사용한다면 그대로 계승됩니다. 퇴직 후 60일 이내에 개설하고 퇴직금 일부를 납부하셔야 가능합니다. 적립형IRP는 퇴직금과 여유자금을 조금씩 적립하는 형태로 여유자금은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적금이나 비슷합니다. 

 

 

적금,연금저축과 다른 장점으로는 더 높게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고 일시금, 연금으로 받을 때 더 많은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세금을 한꺼번에 내지 않고 나눠서 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금 가치가 시간이 지날수록 떨어지기 때문에 나눠서 내는 세금은 확실하게 세테크에 유리합니다. 

 

IRP 절세효과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3.02.01 - [진지한 서학개미] - 마이너스통장에 대해서 - 발급대상, 장단점, 비교

 

마이너스통장에 대해서 - 발급대상, 장단점, 비교

물가가 높다보니까 마이너스통장을 뚫는 사람들이 주변에도 많아졌습니다. 마이너스통장은 돈이 부족할 때도 사용하지만 투자할 때도 사용하곤 합니다. 오늘은 마이너스통장 발급대상, 장단점

commnetall.tistory.com

 

2023.01.13 - [진지한 서학개미] - 예금보다 더 좋은 파킹통장 - 금리비교, 저축은행, 토스뱅크

 

예금보다 더 좋은 파킹통장 - 금리비교, 저축은행, 토스뱅크

정기예금, 적금보다 현금 유동성이 더 좋고 금리는 더 좋은 제2금융권 파킹통장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예금이자는 하락하는 반면 여전히 파킹통장의 금리는 5%대를 유지하고 있는데요. 오늘

commnetall.tistory.com

 

2023.01.24 - [진지한 서학개미] - 저금리 전세자금대출 - 종류, 신청방법

 

저금리 전세자금대출 - 종류, 신청방법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최근 너무 올라서 전세조차도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금리가 최소 5%는 넘어가고 최대 7%까지 되는 곳도 있습니다. 뒤늦게서야 은행은 대출금리를 낮추겠다

commnetall.tistory.com

 


 

 

 

댓글